
안전릴레이 (강제가이드에 의한 접점 구조)
- Relay with Forcibly Guided Contact (EN 50205 Class A, certified by VDE)
- EN/ISO 13849-1 (설비 제어 안전 회로에 대한 기준, SRP/CS)의 Category 2 이상, EN 60204-1 (설비 전기 안전 기준)의 SIL 2 이상의 안전회로에 요구되는 릴레이
- NO / NC 접점이 융착 등의 이유로 동시에 닫히는(Close)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 제작된 릴레이
특장점
- 광범위한 스위칭 전류 (5mA ~ 16A)
- 다양한 접점 릴레이 ( 2, 3, 4, 6, 8, 10 Poles )
- 세계 최소형 안전릴레이 ( SIS2, 16.6 x 16.5 x 29.2㎜ )
- 세계 최박형 안전릴레이 ( SIF4 and SIF6, 높이 10.9㎜ )
- 안전릴레이 전문업체로 신속한 고객 지원
적용분야
▶다음 장비/설비 등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
- Elevators and escalators
- Cranes
- Door and gate drive systems
- Printing and textile machinery
- Robots
- Stamping machines
- Medical equipment
- Cutting machines
- Railroad and subway signaling
▶주요 적용 분야
- Monitoring devices
- Emergency stop modules
- Safety door controls
- Two-hand operating devices
- Pressure mat controls
- Light barriers and curtains
- Speed controls
- Din-rail safety modules

개요
안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회로 내 릴레이에 적용하며, a(NO)접점 b(NC)점점이 동시에 동작상태(Close)가 되지 않도록
강제 가이드 접점 구조 (Relay with forcibly guided contact)를 갖춘 자기 감시 릴레이 (Self Monitoring Relay)에 관한 규격
요점 (EN50205 정의)
- 강제 가이드 접점 릴레이(안전릴레이)는 a접점이 용착될 경우 코일 OFF상태에서도 모든 b점점이 0.5mm이상의 접점 간격을 유지해야만
한다. 또한, b접점이 용착될 경우에도 코일 ON상태에서도 모든 a접점은 0.5mm이상의 접점 간격을 유지해야만 한다.
- 접점 부하 개폐는 용도 카테고리 AC15(AC전자기 부하) 및, DC13(DC 전자기 부하)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
- Class A(모든 접점에 강제 가이드 접점 부착) 릴레이에는 강제 가이드 접점 마크 의 사용이 가능하다.

|
Not energized |
Energized |
Not energized X = Welded NO Contact (a접점의 융착) |
일반 릴레이 |
 |
 |
 |
안전 릴레이 |
 |
 |
 |

제어시스템의 안전 관련 부품에 대한 규정 – EU 기계류에 대한 지침
- EN ISO 13849 : Safety of Machinery –
- Safety 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
(제어시스템의 안전관련 부품에 대한 규정)
- EN IEC 62061 : Safety of Machinery –
- Functional safety of safety related electrical electronic and programmable electronic
control system (전기.전자 및 프로그램이 가능한 전자 제어시스템의 안전기능에 대한 규정)
Category of Safety Control System
B(a) |
제어시스템의 안전관련 부분, 안전장치 및 부품 등은 안전 관련 기준에 따라 설계되어야 함. 단일 부품의 결함이 안전기능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. |
 |
1(b) |
카테고리 B와 같은 요건이나, 기본적인 안전 원칙 외에 검증된 부품과 안전원리 등이 적용되어야 함. 결함의 발생 가능성은 카테고리 B보다 낮으나, 결함 발생 시 안전기능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. |
 |
2(c) |
카테고리 B와 1의 요구사항을 기본으로 함. 안전기능 (Safety function)의 진단 (Test) 기능이 포함된 구조를 가짐. 진단 기능은 기계가 초기 기동 시, 안전 기능 수행 전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시행 진단(Test)사이클을 통해 결함 검출 가능하나, 진단사이클 이외에 발생하는 결함은 안전기능의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 |
 |
3(d) |
안전카테고리 B와 1의 요구사항을 기본으로 함 단일 결함이 전체 안전기능의 상실로 이어지지 않게 설계되어야 함 두 개의 채널을 구성하여 단일 고장이 시스템 내에서 검출되어 이중성 (Redundancy)을 구현 함. 발견되지 않은 결함의 축적이 안전기능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음. |
 |
4(e) |
안전카테고리B와 1, 2 및 3의 요구사항을 기본으로 함.안전카테고리3과 같은 시스템 구조를 가짐. 단일 결함이 안전기능의 상실로 이어지지 않아야 하며, 축적된 결함이 안전기능의 상실을 유발하지 않아야 함. |
 |

안전릴레이는 접점 용착 시, a(NO)접점과 b(NC)접점이 동시에 동작하지(Close) 않도록 하는 강제 가이드 접점구조를 갖추고
있기 때문에 고장난 상황은 다른 회로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을 이용해 안전 회로를 짜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.
The dangerous circuit because the power cannot be cut
Redundancy and Self-Monitoring function with safety relay

- 광범위한 스위칭전류 (강제유도식접점 안전릴레이 시장에서)
- 5mA to 16A
- 광범위한 접점 범위
- 2 to 10 contacts
- 최소 코일용량
- SIS - family
- But our behaviour at high temperatures and re-switching at high loads is very good.
- 최소 사이즈
- SIS–series (세계 최소형) / SIF-Series (세계 최박형, Thin)
- 광범위한 코일 작동 범위
- 높은 절연능력 (PTB EEx applications)
- 고객 중심의 사업 문화
- 고객 중심의 R&D for Special Coils, Special Contact Forces, Special Test Parameters, Special Loads
- 고객 문의에 대한 24시간 내 응답체제
- RoHS 완전 준수, 고온의 Soldering 처리로 안전 보장
- 신속한 납기
- 현업 중심 사고
- 고품질, 유연성, 지원체제
- 주요 고객사
- Pilz, Jokab, Honeywell
- OTIS, Thyssen, Hyundai, Shindler
- ABB, SIEMENS, ALSTOM, BAMBORDIER, LUETZE, SEW, etc…
- GE, CYMER, ASML, etc.
